감정의 반응에 대한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것에서 특정한 공포를 학습하게 되는 생물학적 기질이 있습니다. 인간은 장난감이나 집에 흔하게 있는 커튼 같은 것에 대한 공포보다는 동물이나 높은 곳에 대한 공포를 더 빠르게 학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뱀이나 거미 같은 곤충이나 동물은 장난감보다 더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그러한 공포를 보이는 진화적 감각을 만들어 냅니다. 학습을 하는 것에 있어서 생물학적 영향이 있을까요?
학습과 관련된 생물학적 준비
어떤 음식이나 음료를 먹거나 마신 후에 심하게 아팠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험을 한 사람들은 이러한 경험 때문에 더 이상 그 음식이나 음료를 먹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이 그 음식이나 음료에 대해 매우 강한 혐오감을 가지고 있다면 그 음식이나 음료를 생각하만 해도 속이 울렁거리고 아플 수도 있습니다.
우리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특정 공포를 더욱 잘 학습하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혐오를 더 잘 학습하는 것에도 준비되어 있다고할 수 있지요 . 위험한 대상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그것에 대한 공포를 학습하는 것은 적응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학습들은 우리의 생존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미각 혐오
1960년대에 어떤 학자들은 미각 혐오와 관련된 중요한 연구들을 수행했습니다. 연구결과는 그 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던 '동물의 조건형성이 생물학적 조건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라는 주장에 도전하는 것이었습니다. 쥐들은 방사능 노출 실험에 참여되기 위해 자신들이 원래 살던 우리에서 실험우리로 옮겨졌습니다. 방사능에 노출된 쥐들은 그들이 원래 살던 우리로 돌아온 후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졌습니다. 쥐들은 여전히 방사능에 노출되었던 실험 우리로 돌아가기는 하지만 그 실험실에 있는 물을 더 이상 마시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실험우리에 있던 물병은 자신들이 살던 우리에 있었던 것과 다른 재질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쥐가 실험우리에서 마셨던 물은 자신들이 원래 살던 우리에서 마셨던 것과 다른 맛이 나고 그 결과 쥐가 물에 대한 혐오를 학습하게 된 것입니다. 쥐들은 물 맛이 다른 것과 물을 마신 뒤 아팠던 것을 연관지은 것입니다.
본능적 경향
본능적 경향이라는 것은 동물이 어떤 것에 대해 조작적으로 학습된 반응을 가지고 있지만 타고난 본능적 반응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사람들은 동물들에게 매우 큰 동전을 잡아서 저금통에 넣는 묘기를 훈련시키기 위해 음식을 강화물로 사용했습니다. 사람들은 음식을 사용해서 돼지와 너구리를 훈련시켰는데 동전이 음식 강화물과 함께 제공될 때 돼지와 너구리는 각자 음식을 모으려는 행동인 본능적 반응으로 돌아갔습니다. 돼지는 코로 그 동전들을 밀기 시작했고 너구리는 앞발을 함께 사용해서 동전을 문지르기 시작한 것이죠. 이러한 자연적 반응은 훈련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 발견에서 중요한 것은 때때로 생물학적이고 본능적인 반응이 다른 반응이나 자연스럽지 못한 반응을 조건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거나 막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잠재학습과 관찰학습
인지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인지 중심의 학습 연구자들은 학습과 관련된 정신적 과정들에 주로 관심을 가집니다. 이 연구자들의 주된 연구는 잠재학습과 관찰학습에 대한 연구에서 강화라는 것 없이 학습이 가능한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제 학습의 두 가지 유형에 있어 정통적인 연구 몇 가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잠재학습
대학생 때 내가 듣는 수업에서 시험을 본다고 생각해 봅시다. 내가 무엇을 학습했는지는 시험을 보고 점수가 나올 때까지는 공개적으로 증명할 수 없습니다. 즉 내가 학습을 하고 있지만 그 학습을 증명하기 위한 좋은 점수가 나올 때까지는 학습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을 심리학자들은 잠재학습이라고 부릅니다. 즉, 잠재 학습이란 학습이 일어나고는 있지만 유의미한 결과가 있기 전까지는 증명할 수 없는 학습을 말합니다.
잠재학습과 관련된 한 연구가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쥐를 세 그룹으로 나누고 매일 한 번씩 17일동안 미로를 빠져나가도록 설정했습니다. 첫 번째 그룹에는 강화물인 음식을 미로의 끝인 목표지점에 두었고, 두 번째 그룹에는 강화물인 음식 자체를 두지 않았습니다. 세 번째 그룹에는 11일째가 되는 날에 강화물인 음식을 주었습니다. 결과로는 첫번째 그룹에서는 미로를 빠져나가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길로 빠지는 실수가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그룹에서는 11일째가 되는 날부터 학습 능력이 매우 향상되어 마지막 날에는 첫번째 그룹과 큰 차이가 없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 번째 그룹에서는 17일이 경과할 때까지 학습 능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쥐도 인지적 지도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관찰학습
관찰학습이란 인간이 학습을 하는 것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서 관찰학습은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말을 하는지, 어떻게 운동을 하는지, 운전은 어떻게 하는지 등을 관찰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이 하는 행동을 모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운동선수나 영화배우들을 비롯해서 부모님, 주변 사람들 모두가 학습을 위한 영향력 있는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가장 자주, 많이 보는 것이 바로 부모이므로 부모의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해서 그대로 행동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 방어기제 (0) | 2024.03.19 |
---|---|
심리학 - 정신분석적 접근 (1) | 2024.03.17 |
심리학 - 조작적 조건형성을 통한 학습 (0) | 2024.03.16 |
심리학 - 고전적 조건형성을 통한 학습 (0) | 2024.03.16 |
심리학 - 기억의 3단계 모델 (0) | 2024.03.16 |